2025 경상매일신문 상생포럼(23기)포럼기간 : 2025.04.16(수) ~ 2025.06.18(수)
  • 1주차 : 적극적인 소통으로 소중한 인연 이어가길

    - 2025.04.16 수 07:00 ~ 08:00

    김홍식 강사는 ‘소통의 중요성’을 주제로 강연하며 효과적인 소통을 위한 두 가지 핵심 요소를 제시했다.

    첫째, “감동을 주는 언어를 사용하라”고 강조하며 언어의 네 가지 등급을 설명했다.
    입술의 언어: 기계적이고 사무적인, 영혼 없는 말.
    머리의 언어: 일상적인 대화, 개인적인 생각이 담겨 충돌 가능성이 있는 말.
    스폰지 언어: 상대방의 마음을 헤아리는 공감의 언어.
    스킨십 언어: 칭찬과 격려의 언어로, 때로는 백 마디 말보다 더 큰 감동을 전달.

    둘째, “의미 없는 습관을 바꿔라”고 조언하며 무의식적인 습관이 사고방식을 통제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생활 속의 습관을 변화시키면 생각이 바뀌고 고정관념이 변화하며, 이는 주변과의 원활한 소통으로 이어진다”고 설명했다. 또한, “타인의 인식을 바꾸려 하기보다 자신부터 변화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끝으로 김홍식 강사는 “주변과의 적극적인 소통을 통해 좋은 만남과 소중한 인연을 이어가기를 바란다”며 강의를 마무리했다.

    update by 2025.04.23(수) 13:00:41

  • 2주차 : “AI 시대, 질문하고 말할 줄 아는 리더가 이끈다”

    - 2025.04.23 수 07:00 ~ 08:00

    김지현 아나운서는 방송 현장에서의 풍부한 경험과 커뮤니케이션 전문성을 바탕으로, AI 기술이 일상에 깊숙이 들어온 지금, 진짜 리더에게 요구되는 역량은 ‘질문력과 말하기’라고 강조했다. 그는 “AI는 정보를 줄 수 있지만, 통찰은 오직 사람만이 할 수 있다”며, “질문은 방향을 만들고, 말은 의미를 만든다”고 말했다.

    이어 “좋은 질문을 던지는 사람이 결국 흐름을 주도한다. 질문은 단순한 호기심 표현이 아니라, 세상을 어떻게 바라보고 싶은지에 대한 선택이자 선언”이라고 덧붙이며, 리더에게 필요한 것은 정답을 말하는 능력이 아니라, ‘올바른 질문’을 던지는 힘임을 역설했다.

    또한, 김 아나운서는 “말은 단순한 소통 수단이 아니다. 말은 세계를 해석하는 프레임이며, 존재를 드러내는 방식이다”라며, 말의 힘과 리더십 간의 밀접한 연관성을 다양한 사례를 들어 설명했다.

    그는 말이 조직의 문화와 가치를 형성하고, 구성원의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고 하면서, “말은 의미를 만들고, 의미는 행동을 이끈다”고 강조했다.

    특히, 조직 내에서의 전략적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실제 사례를 들어 설명하며 실질적인 조언도 아끼지 않았다. 그는 “상사가 부하 직원에게 긍정적인 피드백을 주는 것은 비교적 쉬운 일이다. 그러나 부정적인 피드백을 전할 때에는 말의 방식 못지않게 평소의 신뢰가 중요하다”고 말하며, “평소에 사소한 것이라도 인정하고 격려해온 리더라면, 비판적 피드백도 진심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다”고 조언했다.

    update by 2025.04.23(수) 13:03:59

포럼목록 [http://www.xn--289a86s2ob16mg4i3nt.com/open.content/ko/forum/curriculum.list/?]
공유
밴드공유
카카오톡공유 [javascript:;]